- SSL이란 보안 소켓 계층(Secure Sockets Layer, SSL)으로 웹사이트와 브라우저(혹은, 두 서버) 사이에 전송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인터넷 연결을 보안을 유지하는 표준 기술이다.
-HTTPS와SSL을 같은 의미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하다. 이것은 웹이 인터넷 위에서 돌아가는 서비스 중의 하나인 것처럼 HTTPS도 SSL 프로토콜 위에서 돌아가는 프로토콜이다.
- SSL의 동작방법 : SSL핸드셰이크 -> 전송 단계 -> 세션 종료
2. TLS(Transport Layer Security)
- 인터넷에서의 정보를 암호화해서 송수신하는 프로토콜로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스사가 개발한 SSL(Secure Sockets Layer)에 기반한 기술로,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에서 표준으로 인정받은 프로토콜이다. 표준에 명시된 정식 명칭은 TLS지만 아직도 SSL이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 TLS 프로토콜은 암호화, 인증, 무결성이라는 세 가지 주요 요소가 있다.
- 암호화 : 제 3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숨김
- 인증 : 정보를 교환하느나 당사자가 요청된 당사자임을 보장
- 무결성 : 데이터가 위/변조 되지 않았는지 확인
3. SSL과 TLS의 차이
- TLS는 넷스케이프사가 개발한 SSL프로토콜에서 발전한 것이다. TLS버전 1.0은 SSL버전 3.1로 개발을 시작했지만 넷스케이프와 더 이상 연관이 없음을 명시하기 위해 프로토콜의 이름이 변경되었다. 결론적으로 보면 버전의 차이일 뿐 그 외에 차이는 없다고 봐야 할 것 같다.
4. ISP의 DNS 해석기는 www.example.com에 대한 요청을 이번에는 .com 도메인의 TLD 이름 서버 중 하나에 다시 전달합니다. .com 도메인의 이름 서버는 example.com 도메인과 연관된 4개의 Amazon Route 53 이름 서버의 이름을 사용하여 요청에 응답합니다.
5. ISP의 DNS 해석기는 Amazon Route 53 이름 서버 하나를 선택해 www.example.com에 대한 요청을 해당 이름 서버에 전달합니다.
6. Amazon Route 53 이름 서버는 example.com 호스팅 영역에서 www.example.com 레코드를 찾아 웹 서버의 IP 주소 192.0.2.44 등 연관된 값을 받고 이 IP 주소를 DNS 해석기로 반환합니다.
7. ISP의 DNS 해석기가 마침내 사용자에게 필요한 IP 주소를 확보하게 됩니다. 해석기는 이 값을 웹 브라우저로 반환합니다. 또한, DNS 해석기는 다음에 누군가가 example.com을 탐색할 때 좀 더 빠르게 응답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지정하는 일정 기간 example.com의 IP 주소를 캐싱(저장)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Time to Live(TTL)를 참조하세요.
8. 웹 브라우저는 DNS 해석기로부터 얻은 IP 주소로 www.example.com에 대한 요청을 전송합니다. 여기가 콘텐츠가 있는 곳으로, 예를 들어 웹 사이트 엔드포인트로 구성된 Amazon S3 버킷 또는 Amazon EC2 인스턴스에서 실행되는 웹 서버입니다.
9. 192.0.2.44에 있는 웹 서버 또는 그 밖의 리소스는 www.example.com의 웹 페이지를 웹 브라우저로 반환하고, 웹 브라우저는 이 페이지를 표시합니다.
- 인터넷은 웹의 핵심적인 기술로 컴퓨터들 간 TCP/IP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서로 통신 가능한 거대한
네트워크이다.
- 이해하기 쉽게 이야기하면 우리가 웹브라우저상에서 https://www.google.com/ 주소를 치면 구글 홈페이지가 화면에 출력된다. 이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컴퓨터가 구글이 가지고 있는 컴퓨터에 명령을 내려 구글 홈페이지를볼 수있는 것인데 이것이 인터넷이 동작하는 가장 기본적인 원리이다.
2. TCP/IP
- TCP/IP는 컴퓨터와 컴퓨터 간의 지역 네트워크(LAN) 광역 네트워크(WAN)에서 원활한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통신규약이다.
- TCP와 IP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2개의 프로토콜로 이루어져 있다. 그 이유는 IP 기반에 TCP가 사용돼서 이렇게 불리어지게 된 것이다. 쉽게 말해 IP 프로토콜 위에 TCP 프로토콜이 놓이게 된 것이라고 보면 된다.
- IP : 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는 각각 총 4바이트로 이루어져 있는 고유한 주소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을 IP라고 한다.
내 컴퓨터의 IP주소를 확인하는 방법은 윈도우라면 cmd에서 ipconfig, 유닉스 계열이면 ifconfig로 치면 주소가 나온다.
- TCP :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전달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토콜이다. TCP는 근거리 통신망(LAN), 원거리 통신망(WAN), 인트라넷, 인터넷 등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간에 일련의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순서대로 에러 없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한다.